파이코인 거래량 등 정보모음: 파이스캔 PiScan

파이코인이 2025년 2월20일 메인넷으로 전환되면서 OKX, Bitget 등 거래소에 상장되었습니다. 파이코인의 유통량, 거래량 등에 대한 정보를 한곳에서 볼 수 있는 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파이스캔 PiScan

파이스캔 사이트를 방문하면 파이코인 현재가, 거래량, 각 거래소별 유통량 등 모든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파이스캔을 https://piscan.io/ 방문하면 나오는 화면입니다.

(웹으로 접속할 때입니다. 모바일로 접속시는 아래 항목들이 쭉 아래로 이어집니다.)

현재가, 시총, 유통량, 거래소 등을 볼 수 있습니다.

Transactions Per Second (TPS) 초당 네트워크에서 처리할 수 있는 최대 거래수를 말한다고 합니다.

TPS = (블록 크기/거래 크기) / 블록 시간

파이코인과 다른 코인들간의 TPS를 찾아보았습니다.

비트코인(BTC) TPS: 7

이더리움(ETH) TPS: 15~30


파이코인의 트랜잭션 속도는 다른 주요 암호화폐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빠른 편입니다.

파이코인은 초당 최대 70,000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전송 속도는 3~5초로, 전 세계 어디서나 빠른 거래가 가능합니다.

비트코인은 초당 약 7건, 이더리움은 초당 약 35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것에 비해 파이코인은 3초마다 1억 건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파이코인의 빠른 트랜잭션 처리 능력은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SCP)을 기반으로 한 기술적 특징 때문입니다.

출처:https://www.perplexity.ai/

위의 설명과 같이 파이코인을 지갑에서 전송을 해보면 정말 빨리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초도 안 걸리는 것 같습니다.

파이스캔 PiScan

파이스캔 사이트에서는 트레이딩 뷰 챠트를 보여줍니다. 좌측 하단 마크를 누르면 트레이딩 뷰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챠트 오른쪽에는 진행되고 있는 거래내역이 쭉 보여집니다.

첫 화면 거래소 목록에서 view all을 클릭하면 아래처럼 현재 파이코인이 거래되고 있는 모든 거래소 유통량이 보여집니다.

또한 아래쪽에는 코어팀 지갑이 보여지고 각 지갑의 거래내역도 확인 가능합니다.

파이스캔 PiScan

지갑주소를 클릭하면 아래처럼 모든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이스캔 PiScan

우측 상단에 있는 검색창에 아무 지갑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지갑의 거래내역이 쭉 나타납니다.

본인의 지갑주소 등으로 한번 해보시면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천:  [코인 기초] 4.이더리움 : 코인 제2 대장주

지갑주소만 알면 또한 거래내역도 이렇게 투명하게 공개되고 있지만 해당 지갑의 소유자는 알 수 없습니다.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익명성이라는 특징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외 사이트

https://blockexplorer.minepi.com/mainnet

파이 메인넷 유통량, 락업 물량, 거래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explorepi.info/en/explorer

파이 메인넷 유통량, 락업 물량, 거래소 유통량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링크(https://minepi.com/kateinpie2021)를 참고하시고 가입 시 저의 사용자 이름(kateinpie2021)을 초대 코드로 입력하고 진행하면 됩니다.

파이코인 가입방법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