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치료제를 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병원에서 검진을 통해 혈압이 높아지면 내과에서 보통 고혈압 치료제를 처방합니다.
의사들이 필요에 의해서 처방한 약이지만 부작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고혈압 치료제 종류와 그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혈압 치료제 종류
고혈압 치료에 쓰이는 약은 크게 작용 기전에 따라 몇 가지 주요 계열로 나뉩니다. 각 계열은 혈압을 낮추는 방식과 부작용이 조금씩 다릅니다.
1.이뇨제 (Diuretics)
- 예시: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HCTZ), 인다파미드, 클로르탈리돈
- 작용: 소변으로 염분과 수분을 배출 → 혈액량 감소 → 혈압 하강
- 주의: 저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탈수
- ACE 억제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 예시: 카프토프릴, 에날라프릴, 리시노프릴, 페린도프릴
- 작용: 안지오텐신 II 생성 억제 → 혈관 확장 → 혈압 하강
- 주의: 마른기침, 고칼륨혈증, 드물게 혈관부종
- ARB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 예시: 로사르탄, 발사르탄, 텔미사르탄, 올메사르탄
- 작용: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 → 혈관 확장
- 특징: ACE 억제제와 비슷하나 기침 부작용이 거의 없음
- 주의: 고칼륨혈증, 신장 기능 저하
- 베타 차단제 (Beta Blockers)
- 예시: 아테놀롤, 메토프로롤, 비소프롤롤, 카르베딜롤
- 작용: 교감신경 차단 → 심박수 및 심장 수축력 감소
- 주의: 서맥, 피로, 천식 환자 주의
- 칼슘 채널 차단제 (CCB, Calcium Channel Blockers)
- 예시: 암로디핀, 펠로디핀, 딜티아젬, 베라파밀
- 작용: 혈관 평활근의 칼슘 유입 차단 → 혈관 확장
- 주의: 발목 부종, 얼굴 홍조, 두통, 변비
- 알파 차단제 (Alpha Blockers)
- 예시: 독사조신, 프라조신
- 작용: 말초 혈관 알파 수용체 차단 → 혈관 확장
- 주의: 기립성 저혈압(일어날 때 어지럼증)
- 기타
- 중추 작용제: 클로니딘, 메틸도파 → 교감신경 억제
- 혈관 확장제: 하이드랄라진, 미녹시딜 → 말초혈관 직접 확장
- 직접 레닌 억제제: 알리스키렌
복용 시 고려해야 할 점
대부분의 약에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방을 내린 의사들도 부작용에 대한 설명을 잘 진행하고 복용 후 예후를 살펴보아야 할것입니다.
약국에서 파는 일반 의약품 등에도 부작용에 대한 부분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살펴본 고혈압 치료제중에 특히나 이뇨제 성분이 포함된 약을 복용시는 주의해야 합니다.
1.전해질 이상
티아지드, 루프 이뇨제 →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칼륨 보존성 이뇨제 → 고칼륨혈증
2.탈수 → 어지럼증, 기립성 저혈압
3.신장 기능 악화 가능성
아모잘탄플러스정 성분 및 주의점
고혈압 약으로 처방되는 약 중에 아모잘탄플러스정 5/50/12.5mg (또는 용량 조합)은 세 가지 성분이 합쳐진 복합제입니다.
암로디핀(5mg) : 칼슘채널 차단제 (CCB)
로사르탄(50mg) :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ARB)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12.5mg) : 티아지드계 이뇨제
따라서 세 가지 성분 각각의 부작용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1. 암로디핀 (칼슘채널 차단제)
발목 부종(부종이 가장 흔함)
얼굴 홍조, 두통, 어지럼증
심계항진(두근거림)
잇몸 비대(드물게)
- 로사르탄 (ARB)
어지럼증, 피로감
고칼륨혈증 (혈중 칼륨 ↑ → 부정맥 위험)
신장 기능 악화 가능성 (특히 신부전 환자)
-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이뇨제)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 근육 경련, 피로, 심하면 혼돈/경련
고요산혈증 → 통풍 발작 유발 가능
혈당 상승, 콜레스테롤 상승 가능
탈수, 기립성 저혈압
특히 복합성분이라 더욱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전해질 이상 : 저나트륨·저칼륨(이뇨제) ↔ 고칼륨(ARB) → 서로 상쇄되기도 하지만 불균형 위험 있음
신장 기능 : ARB + 이뇨제 조합으로 신장 기능이 떨어질 수 있음
그리고 잦은 소변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인, 만성질환 환자는 혈액검사(전해질, 크레아티닌, eGFR) 정기적 확인이 필요합니다.
요약
현재 고혈압 치료제로 다양한 방법으로 혈압을 낮추는 많은 약이 있습니다.
약에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특히나 노인, 만성질환 환자는 신체의 적응력, 균형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니 더욱 부작용에 대해서 인지를 하고 복용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몸이 허약한 노인들께서는 전해질 이상으로 급격한 저나트륨 등 증상이 나타나면 위험할 수 있으니 더욱 유념해서 복용하고 정기적인 혈액 검사 등이 필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의사와 상담을 통해 식이법 개선과 운동을 통해 약 복용을 줄이는 방법도 강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