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용어] BIP 39, 니모닉 코드란?

코인 암호화폐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디지털 자산의 개인 디지털지갑에 저장할 때 보안을 위해 암호가 필요합니다. 이때 알아둬야 할 용어가 BIP39와 니모닉 입니다.

BIP 39란?

BIP 39(Bitcoin Improvement Proposal 39)은 암호화폐 지갑에서 니모닉 코드(mnemonic code)를 사용하여 지갑의 시드(seed)를 생성하고 백업하는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2013년에 제안되었으며,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BIP 39의 주요 개념

  1. 니모닉 코드(mnemonic code)
  • 12~24개의 단어로 구성된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백업 문구
    알파벳 A~Z까지 총 2048 단어로 이뤄져있음
  • 예: apple banana cherry desk easy flower
  • 복잡한 시드(seed)를 기억하기 쉽게 만들기 위한 방식
  •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비밀문구라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함

2.시드(seed) 생성

    • 니모닉 단어를 기반으로 암호학적 해싱을 수행하여 512비트 시드(seed)를 생성
    • 이 시드는 여러 개의 개인 키(private key)를 파생할 수 있음

    3.BIP 32 및 BIP 44와의 관계

      • BIP 39로 생성된 시드는 BIP 32(HD Wallets)에서 사용되며,
      • BIP 44를 통해 여러 코인의 계정을 관리 가능

      BIP 39의 장점

      백업이 용이: 긴 숫자 대신 단어를 사용하여 사람이 기억하고 적어두기 쉬움
      복구 가능: 니모닉 문구만 있으면 지갑을 다른 기기에서 복원 가능

      표준화: 여러 블록체인과 지갑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됨

      주의할 점

      니모닉 문구 유출 시 자산 도난 위험
      오타나 단어 순서가 바뀌면 복구 불가능
      백업을 반드시 오프라인에 보관할 것

      BIP 39는 암호화폐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중요한 기술이므로, 니모닉 문구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간혹 핸드폰에 사진 저장이나 메일 등으로 전송해서 보관하다가 해킹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잠금장치로 별도 잠금을 하거나 생성된 니모닉에 자신이 니모닉 단어를 특정 순서에 몇개 삽입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경우에도 원본은 오프라인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어떤 문구를 추가했는지 잊을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추천:  파이코인 용어: 레퍼럴, 보안서클 (방패) 설정

      니모닉 단어 목록 사이트

      아래사이트에서 니모닉에서 사용하는 2048 단어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니모닉을 생성할수도 있습니다. 한글 니모닉도 있습니다.

      https://privacypros.io/bip39-word-list/#bip39list

      https://www.blockplate.com/pages/bip-39-wordlist